데이터 용어의 연혁
1950년 대
미국에서 군대의 군비 상황을 집중 관리하기 위하여 컴퓨터 도서관을 설립하면서 데이터(data)의 기지(base)라는 뜻의 데이터베이스가 탄생함
1963년 6월
미국 'SDC'가 개최한 심포지엄에서 데이터베이스라는 용어를 공식 사용함. 데이터베이스 초기 개념인 대량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지로 사용함
1963년
GE의 C.바크만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IDS 개발함
1965년
2차 심포지엄에서 시스템을 통한 체계적 관리와 저장 등의 의미를 담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라는 용어 등장
1970년대 초반
유럽에서 데이터베이스라는 단일어가 일반화됨
1975년
미국의 CAC가 KOESTIC을 통해 서비스되면서 우리나라에서 데이터베이스 이용이 이루어짐
1980년
KORSTIC이 해외 전문 데이터베이스를 확충하여 TECHNOLINE 이라는 온라인 정보검색 서비스를 개시하여 본격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시대를 맞이함
1980년대 중반
국내의 데이터베이스 관련 기술의 연구, 개발함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1차 개념 확대 (정형 데이터 관리)
EU(데이터베이스의 법적 보호에 관한 지침) : 체계적이거나 조직적으로 정리되고 전자식 또는 기타 수단으로 개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독립된 저작물, 데이터 또는 기타 소재의 수집물
국내 '저작권법' : 소재를 체계적으로 배열 또는 구성한 편집물로서 개별적으로 그 소재에 접근하거나 그 소재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
2차 개념 확대 (빅데이터의 출현으로 비정형데이터 포함)
국내 '컴퓨터 용어사전' : 동시에 복수의 적용 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복수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해서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저장,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한 구조에 따라서 편성된 데이터의 집합
국내 'Wikipedia' : 관련된 레코드의 집합, 소프트웨어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를 의미
국내 '데이터분석 전문가 가이드' : 문자, 기호, 음성, 화상, 영상 등 상호 관련된 다수의 콘텐츠를 정보 처리 및 정보 통신 기기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수집, 축적하여 다양한 용도와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한 정보의 집합체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통합된 데이터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가 중복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 데이터 중복은 관리상의 복잡한 부작용을 초래
저장된 데이터
자기 디스크나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이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것을 의미.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컴퓨터 기술을 바탕으로 한 것
공용 데이터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목적으로 데이터를 공동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 대용량화되고 구조가 복잡한 것이 보통
변화되는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은 곧 데이터베이스의 현시점에서의 상태를 나타냄. 다만 이 상태는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기존 데이터의 삭제, 갱신으로 항상 변화하면서도 항상 현재의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해야 함
'데이터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분석 기법의 이해 (0) | 2023.04.29 |
---|---|
산업 별 데이터베이스 활용 방법 (제조, 금융, 유통) (0) | 2023.04.29 |
데이터베이스 활용 (과거부터 현재까지 기업에서 활용한 방법은?) (0) | 2023.04.29 |
데이터란 무엇인가? (DIKW의 정의) (0) | 2023.04.29 |
[ADP·ADsP] 데이터 분석 전문가 자격 시험 정리 (0) | 2023.04.29 |
댓글